레이블이 linu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레이블이 linux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. 모든 게시물 표시

2015년 10월 6일 화요일

리눅스 yum, apt-get을 이용한 패키지 다운로드

리눅스 yum, apt-get을 이용한 패키지 다운로드

출처: http://blog.naver.com/cestlavie_01/220281004758


네트워크가 되지 않는 환경에서 패키지를 일일히 받아서 설치해줘야 하는 상황이 있다.
외부망에 연결이 되어있다면 yum install ~~~, sudo apt-get install 로 설치하면되지만 이런 조건이 안되는 것이다.

이럴때 설치하려는 서버와 같은 환경을 만들어놓고 외부망과 연결해서 패키지만 다운받을 수 있다.



2015년 6월 30일 화요일

scp 명령어를 이용한 파일 복사 및 전송

(맨날 까먹어; 할때마다 까먹어;)

출처: HostWay - 서버운영가이드
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scp 명령어를 이용한 파일 복사 및 전송

  ssh에서 제공되는 scp 명령어를 통해 로컬서버↔원격서버 로의 파일을 간단하게 전송할 수 있다.

 1. 사용방법
    1) 원격 서버 → 로컬 서버로 파일 전송
        # scp [옵션] [계정명]@[원격지IP주소]:[원본 경로 및 파일] [전송받을 위치]

        예제1) IP 111.222.333.444 서버의 abc라는 계정으로 /home/abc/index.html 파일을 로컬서버 /home/me/ 디렉토리에 전송 받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# scp abc@111.222.333.444:/home/abc/index.html /home/me/

    2) 로컬 서버 → 원격 서버로 파일 전송
        # scp [옵션] [원본 경로 및 파일] [계정명]@[원격지IP주소]:[전송할 경로]

        예제2) 로컬서버 /home/me/wow.html 파일을 IP 111.222.333.444 서버의 /home/abc/ 디렉토리에 전송 하기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scp /home/me/wow.html abc@111.222.333.444:/home/abc/

    3) ssh포트를 기본 22번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는 서버로의 전송

        예제3) 2222번인 SSH포트를 사용한다면 아래와 같이 –P 옵션과 포트번호를 넣어준다.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scp –P 2222 abc@111.222.333.444:/home/abc/index.html /home/me/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# scp –P 2222 /home/me/wow.html abc@111.222.333.444:/home/abc/

        [주의사항]
        옵션중에 –P와 –p가 있으니 대/소문자 확인을 하여야 한다.
        -P : 포트번호를 지정함
        -p : 원본파일 수정/사용시간 및 권한을 유지함
        -r : 하위 디렉토리 및 파일 모두 복사함

디스크 용량확인

df (disk free): 디스크의 남은 공간 확인


사용법:
df [Option] [FileSystem | File]

* Option
- k : Kilobyte
-m : Megabyte

예제:
df -k : KiloByte
df -m : MegaByte
df . : 현재 디랙터리가 포함된 파티션의 남은공간 확인

du : 특정 디렉토리의 디스크의 사용량 확인


사용법:
du [Option] [Files]

* Option
-a : 디랙터리 내 모든 파일크기 확인
-s : 총 사용량 표시
-k : KiloByte
-h : 최적단위로 표시

예제:
du -a : 디랙터리 내 모든파일 확인
du -s * : 현재 디랙터리만의 사용량 확인 
'du -h --max-depth=N *'와 같이 N깊이 사용량 확인이 가능함.

# du -sh /root
970M    /root

2015년 6월 8일 월요일

[Linux] DNS, MySQL, Apache 프로세스 실행/종료/재시작 (2006)

(2006/12/11 19:02 작성)

출처: http://blog.naver.com/paolo2000/100015751382

DNS 서버


(1) 시작

[root@test root]# /etc/rc.d/init.d/named start

(2) 재시작

[root@test root]# /etc/rc.d/init.d/named reload

(3) 정지

[root@test root]# /etc/rc.d/init.d/named stop

이렇게 되면서 정지가 되지 않았습니다.

[root@test root]# ps -ef | grep named
named 17585 1 0 22:39 ? 00:00:00 [named]
root 17728 17314 0 22:42 pts/2 00:00:00 grep named

bind 는 아래 명령어를 사용해서 정지 시킬 수 있으나 먹지 않더군요(권장사항인데...)

[root@test root]# rndc stop

그래서 할 수 없이 깔끔하게 프로세스를 죽였입니다.

[root@test root]# killall named
[root@test root]# ps -ef | grep named


Apache & Mysql

(1) mysql 및 apache 시작

- mysql 시작 :
/usr/local/mysql/bin/mysqld_safe &

- apache 시작 :
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start


(2) mysql 및 apache 재 시작

- mysql 재시작 :
/usr/local/mysql/bin/mysqladmin -u root -p reload

→ 이 방법은 완벽한 재 시작이 아닙니다. 문제가 발생시 완전히 중지시키고 다시 시작하세요.

- apache 재시작 :
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restart


(3) mysql 및 apache 중지

- mysql 중지 :
/usr/local/mysql/bin/mysqladmin -u root -p shutdown

→ 이 방법으로 죽지 않을 때는 killall mysqld 라고 하면 죽습니다.

- apache 중지 :
/usr/local/apache/bin/apachectl stop

→ 대부분 이 방법으로 죽으나 죽지 않는다면, killall httpd 하시면 죽습니다.




2015년 6월 2일 화요일

WC with cat (at Linux)

wc : 문서가 몇 줄 단어로 이루어져 있는지 한번에 세어준다

예) cat /etc/shadow | wc -l
option)
  -c : 문자수만 보여줌
  -m : 캐릭터수만 보여줌
  -l : 라인수만 보여줌
  -w : 단어수만 보여줌
  -L : 가장 긴줄 한줄만 보여줌

2015년 6월 1일 월요일

CentOS 리눅스 yum 사용법

>> 업데이트 목록 보기
# yum list updates

>> 업데이트 목록의 다운로드 및 업데이트 설치
# yum update –y

>> 설치된 rpm 패키지 목록 보기
# rpm -qa
# yum list installed

>> gcc 패키지 설치여부 확인
# rpm -qa | grep gcc
# yum list installed gcc

>> gcc 패키지 설치
# yum install gcc gcc-c++

>> gcc 패키지 업데이트
# yum update gcc gcc-c++

>> 패키지 이름으로 검색
# yum list 패키지명
# yum list 정규식
# yum list gcc
# yum list gcc*

>> 여러개의 패키지를 설치
# yum install gcc gcc-c++

>> 패키지 삭제
# yum remove gcc gcc-c++

>> 설치 가능한 모든 패키지 보기
# yum list all

>> 패키지 그룹 보기
# yum grouplist

>> 그룹 패키지 설치
# yum groupinstall “Development Tools”

>> 그룹 패키지 업데이트
# yum groupupdate “Development Tools”

>> 그룹 패키지 삭제
# yum groupremove “Development Tools”

>> 아키텍처 지정 설치
# yum install mysql.i386

>> 파일 보유 패키지명 확인
# rpm -qf /etc/passwd
# yum whatprovides /etc/passwd

>> 맨페이지 보기
# man yum

>> yum 미러 서버중 속도가 빠른 서버를 자동으로 찾아서 연결 (yum fastestmirror 패키지를 설치)
Cent OS 4.X
# yum install yum-plugin-fastestmirror -y
Cent OS 5.X
# yum install yum-fastestmirror –y

>> rpmforge 저장소 사용
기본제공 rpm이외의 추가적인 rpm 패키지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rpmforge를 이용 

2014년 12월 23일 화요일

About command『grep』..

(네이버블로그에서 옮겨옴)
2005/08/18 18:55 http://blog.naver.com/jujac/20015983615


About command『grep』..



  • grep
    • : 하나의 파일이나 여러 파일에서 특정 문자열을 찾는다.
  • grep '\' {file-name}
    • : "cho"가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'cho taehyun' {file-name}
    • : "cho taehyun"가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'^cho' {file-name}
    • : "cho"가 줄 맨 앞에 있으면 그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'\.bak$' {file-name}
    • : ".bak"로 끝나는 줄을 출력한다.
  • grep '[Pp]yramid' *
    • : 현재 작업 디렉토리 내에 있는 모든 파일에서 pyramid나 Pyramid를 포함하는 모든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'[A-Z]' {file-name}
    • : 하나 이상의 대문자가 포함된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'[0-9]' {file-name}
    • : 하나 이상의 숫자가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'[A-Z]...[0-9]' {file-name}
    • : 대문자로 시작하고 숫자로 끝나는 다섯 문자의 패턴이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-w '[tT]est' {file-name}
    • : Test나 test가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 (*단어 단위)
  • grep -s "Mark todd" {file-name}
    • : Mark Todd 패턴이 포함된 줄을 찾는다. 하지만 그 줄을 출력시키지는 않는다. 이 옵션은 grep의 exit status를 검사할 때 사용할 수 있다.
  • grep -v 'Mary' {file-name}
    • : Mary가 포함되지 않는 모든 줄을 출력시킨다.
  • grep -i 'sam' {file-name}
    • : 대소문자에 관계없이 모든 줄을 출력시킨다.(예, SAM, sam, Sam, sAm,SaM)
  • grep -l 'Dear Boss' *
    • : Dear Boss가 포함된 모든 파일들의 리스트를 출력시킨다.
  • grep -n 'cho' {file-name}
    • : cho가 포함된 줄을 줄 번호와 함께 출력시킨다.
  • grep "$name" {file-name}
    • : name변수의 값을 확장시킨 다음에 그 값을 갖는 줄을 출력시킨다. 이때 큰따옴표를 사용해야 한다.
  • grep '$5' {file-name}
    • : $5가 포함된 줄을 출력시킨다. 작은 따옴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.
  • ps -ef | grep "^ *user1"
    • : ps -ef 코맨드의 출력을 grep으로 파이프시킨다. 그러면 grep은 user1로 시작하는 줄을 찾는다. 이 때 user1앞에 0이나 스페이스가 와도 상관없다.

웹서버보안관련메모 (at Linux)

웹서버보안관련 메모 (at Linux)


2005/08/18 18:54 http://blog.naver.com/jujac/20015983550

(네이버블로그에서 옮겨옴)


ntsysv 명령으로 불필요한 데몬을 모두 죽인다.
◎ telnet과 FTP서비스에 대한 IP Address의 통제권한 부여
( TCP Wrappers를 이용 )

a. hosts.deny : 접속을 차단
■ vi Edit Consol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
# hosts.deny This file describes the names of the hosts which are
# *not* allowed to use the local INET services, as decided
# by the '/usr/sbin/tcpd' server.
#
# The portmap line is redundant, but it is left to remind you that
# the new secure portmap uses hosts.deny and hosts.allow. In particular
# you should know that NFS uses portmap!
in.telnetd:ALL
in.ftpd:ALL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b. hosts.allow : 접속을 허용
■ vi Edit Consol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#
# hosts.allow This file describes the names of the hosts which are
# allowed to use the local INET services, as decided
# by the '/usr/sbin/tcpd' server.
#
in.telnetd:123.123.123.123
in.ftpd:123.123.123.123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c. 변경후 xinetd restart필요
■ vi Edit Console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[root@ns etc]$ cd /etc/rc.d/init.d
[root@ns init.d]$ ./xinit.d stop
Stoping xinetd: [OK]
[root@ns init.d]$ ./xinit.d start
Starting xinetd: [OK]
[root@ns init.d]$ _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◎ 포트제어
a. setup명령에 의한 firewall configuration 제어
b. /etc/services 파일 직접제어



W3C libwww & libxml libraries install

(네이버블로그에서 옮겨옴)

2005/08/18 18:39 http://blog.naver.com/jujac/20015982927


W3C libwww & libxml libraries install

at Unix / Linux

W3C libwww libraries

w3c-libwww-5.4.xx.tar.gz
 tar xfvz w3c-libwww-5.4.xx.tar.gz
 cd w3c-libwww-5.4.xx
 ./configure --prefix=/usr --with-zlib --with-mysql
 make
 make install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
W3C libxml libraries

libxml2-2.6.xx.tar.gz
 tar xfvz libxml2-2.6.xx.tar.gz
 cd libxml2-2.6.xx
 ./configure --prefix=/usr --desable-shared
 make
 make install